Site icon REDMILK

워드프레스 Rank Math SEO – 2. 설정하기

이번에는 검색엔진 최적화 및 블로그 최적화를 위한 Rank Math SEO(랭크 매쓰 SEO)의 설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처음에 설치하게 되면 거의 대부분은 이용하는데 무리가 없을 정도로 셋팅이 됩니다. 그래도 몇 가지 주요 설정에 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Rank Math SEO 대시보드(Dashboard) – Modules

설명하기에 앞서 해당 포스팅은 유료인 Rank Math SEO PRO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나 대부분의 기능은 무료에서도 제공되기에 무료 사용자 분들도 참고 하시면 될 듯합니다. 그리고 프로 버전에서 제공되는 옵션이 아님에도 옵션이 안보이시는 경우에는 대시보드(Dashboard) – 모듈(Modules) 에서 모듈을 활성화 시켜주시길 바랍니다.

General Settings (일반 설정)

메뉴 이름과 같이 기본이 되는 설정들입니다. 일반 설정에서는 Links(링크), Breadcrumbs(브레드크럼), Image(이미지), Webmaster Tools(웹마스터 툴), robots.txt 편집, 기타, Blocks(블록), .htaccess, 404 Monitor, Redirections(리다이렉션), Analytics(애널리틱스), Content AI(콘텐츠 AI) 의 메뉴가 있습니다. 전부다 설명하기에는 글의 양이 방대해지기에 제 기준으로 중요하다 생각되지 않는 부분은 건너 뛸 수 있는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Links(링크)

Rank Math SEO 링크 설정1

Breadcrumbs (브레드크럼)

브레드크럼

브레드크럼은 쉽게 말해 해당 게시물의 경로를 표시해 주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 테마에 브레드크럼 기능이 있다면 테마의 브레드크럼 기능을 사용하셔도 되며 해당 설정을 활성화시에 출동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옵션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Images(이미지)

Webmaster Tools (웹마스터 툴)

웹마스터 툴에 대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구글의 경우 사이트킷 플러그인을 사용하신다면 의미 설정이 의미가 없습니다.

Blocks (블록)

Rank Math SEO에서는 구텐베르그 에디터에서 Table of Contents(목차) 블록을 지원하며 해당 부분에 대한 설정입니다만 일반 사용자라면 특별히 만질 부분은 없습니다.

404 Monitor (404 모니터)

404 Monitor 설정

Redirections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 설정

Analytics (애널리틱스)

Titles & Meta (타이틀과 메타 설정)

Global Meta (전역 메타 설정)

Local SEO (로컬 SEO)

개인이라면 크게 필요하지는 않으나 사업체의 홈페이지라면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은 모두 채워줍니다.

Social Meta (소셜 메타)

자신의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설정입니다.

Homepage (홈페이지)

Authors (저자)

작성자에 아카이브에 대한 설정입니다. 해당 사이트에 여러명의 저자가 있지 않는다면 설정은 비활성화 합니다.

Misc Pages (기타 페이지)

Post Types: Posts (글), Pages (페이지) 등에 대한 포스트 타입별 설정

글과 페이지, 포트폴리오 등 설정은 비슷한 부분이 많기에 함께 묶어 가겠습니다.

Attachments (첨부 파일)

첨부 파일의 경우 일반 설정 – 링크 항목에서 Redirect Attachments (첨부파일 리다이렉트) 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해당 옵션은 설정 할 수 없습니다.

Post: 카테고리, 태그

태그에 대한 설정

키테고리와 태그 중 하나는 위와 같이 No Index 처리합니다. 카테고리와 태그를 모두 색인가능하게 하면 중복되는 항목들이 생길 수 있고 검색시에 태그 저장소 같은 이름을 달고 태그들만 무더기로 검색되는 현상을 경험 하실수도 있습니다. 검색이 많이 되면 좋은거 아니냐 하실 수 있는데 영양가 없는 게시물의 태그나 링크는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합니다. 해당 카테고리와 태그외에도 설치한 플러그인에 따라서 여러 옵션이 나타날 수 있는데 해당 부분들 중 매우 중요하지 않은 아카이브는 전부 No Index 처리하도록 합니다.

Sitemap Settings (사이트맵 설정)

사이트 맵 설정의 경우에는 중복되는 항목이 많습니다. 설정도 워낙에 간단해서 설명드릴게 별로 없네요. 다만 앞서 타이틀&메타 설정에서 카테고리와 태그 중 하나만 선택해서 색인되게 하라고 말씀드렸는데 사이트맵도 마찬가지로 하나만 만들어지도록 합니다.

설정에 대한 포스팅을 끝내며

솔직히 비슷한 항목이 많고 Rank Math SEO에서 워낙에 보기 좋게 설정 부분은 만들어서 어려움은 없으시리라 믿습니다. 다만 일부 항목들은 비활성화 하거나 검색이 안되게 하는것을 추천 드렸는데 무조건 검색이 많이 된다고 좋은것은 아닙니다. 본문 내용에도 말씀드렸지만 불필요한 내용에 대한 색인은 오히려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평판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만 명심하셔서 입맛에 맛게 셋팅하시면 될듯합니다.

다음번에는 RankMath SEO 플러그인 중 구글에 색인요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인스턴트 인덱싱(Instant Indexing)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Exit mobile version